•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충주 23.8℃
  • 구름조금서산 26.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홍성(예) 26.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고산 25.8℃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제천 22.2℃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조금보령 26.1℃
  • 흐림부여 22.9℃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7.11.07 00:01:25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아리랑은 영원한 한국인의 향수다. 아리랑은 우리의 정서를 가장 잘 담은 국민가요다. 지금까지 시간 장소를 막론하고 아리랑처럼 많이 불러진 노래는 없다. 한일 월드컵에서도 붉은 악마들은 아리랑을 응원가 삼아 합창하였고 남북 이산가족이 만날 때에도 아리랑을 서럽게 서럽게 부르며 혈육의 정을 확인했다.
아리랑이 이토록 국민 애창곡 1위를 기록하며 한국인의 영원한 노래로 회자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그것은 아마도 아리랑만이 담고 있는 한국인의 정서 때문일 것이다. 한국인의 정서는 정(情)과 한(恨)으로 대변된다. 영어로도 번역이 곤란한 이 별난 정서는 수 천 년을 이어져오며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무슨 정과 한이 그리 많길래 시도 때도 없이 범민족적인 정서가 아리랑으로 형상화되며 그리움이라는 폭넓은 감정의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일까. 참았던 눈물, 서러움 등 아픔의 요소들이 내재되고 응축돼 있다가 어느 시기를 만나면 화산처럼 분출되고 마는 것이다.
북방 유목민족과 달리 농경정착문화를 가진 우리는 늘상 피붙이와 이웃을 확인하고 사는 한솥밥 공동체의 문화를 형성해왔다. 그 평화의 밥그릇은 이민족의 침입이나 어떤 정치적 사회적 변수로 번번이 깨어지면서 정과 한을 파생시켰다. 헤어진 피붙이에 대한 그리움, 이민족의 침략에 대한 분노, 기약 없는 이별과 만남에 대한 서러움과 기대치가 복합, 응축되어 아리랑이라는 국민가요를 오래전부터 탄생시킨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아리랑이 수도 없이 많이 산재해 있다. 긴 아리랑을 비롯하여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등이 가장 많이 불려지고 있으나 이외에도 수 백 종을 헤아리고 노랫말의 변종까지 합치면 수 천곡에 이른다. 게다가 아리랑 곡조를 골격으로 하는 요즘의 창작곡까지 합치면 그 숫자를 헤아리기조차 힘들다.
우리나라가 아리랑의 천국임에도 국토의 중심부에 있는 충북에 아리랑이 없었다는 것은 매우 서글프고 안타까운 일이었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어째 아리랑이 없었을까. 아리랑 역시 농요일진대 충북에선 실종된 것일까. 이러한 의문의 해답은 의외로 충북의 이민사에서 찾아졌다.
1938년, 만척주식회사는 충북에 사람을 파견하여 이주민을 모집하였다. 일제의 침탈에 멀미가 난 사람들은 조밥이라도 실컷 먹어볼까 해서 정든 고장을 떠났다. ‘북간도의 감자는 물동이만 하드라’라는 이야기를 듣고 너도 나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그때 180세대가 만주로 향했는데 대개 청주, 보은, 옥천 사람들이었다. 이중 왕청현 대흥구로 100세대가 가고 80세대는 두만강에서 20여리 떨어진 도문시 양수진 정암촌에 정착했다.
그들은 손발이 부르트도록 황무지를 일구며 노동의 고됨을 청주아리랑으로 달랬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주게/ 울 너머 담 너머 님 숨겨 두고/ 난들난들 호박잎이 날 속였네.../ 시아버지 골난 데는 술 받아주고/ 시어머니 골난 데는 이 잡아준다/ 새애끼가 골난 데는 엿 사다주고/ 며늘애기 골난 데는 홍두깨 찜질/ 아리랑 타령이 얼마나 좋은지/ 밥 푸다 말고서 엉덩춤 춘다...”
이민의 봇짐에서 나온 청주아리랑은 이렇게 전승되었고 연변 김봉관 씨가 처음 채보하였으며 이곳을 답사한 임동철 충북대총장(당시 국문과 교수)이 지난 1993년 이를 찾아 소개한 것이다. 청주에서는 막상 이를 잊어버렸는데 70년 만에 난데없이 이민사에서 찾아진 것이다.
오늘날, 청주 모 국악원에서는 이를 가르치고 있으며 청주 MBC에서는 청주아리랑 CD를 제작했다. 이번에는 청주아리랑이 연극무대에 올려져 한으로 얼룩진 우리의 자화상을 다시 보여줬다. 극단 ‘늘품’은 11월 2~4일 문화공간 너름새에서 ‘잊혀진 귀향의 소리-정암촌의 청주아리랑’을 공연했다. 천은영작, 연출로 충청도 민초들의 아픔과 끈질긴 생명력을 되새겨 보는 무대였다. 다시 불러보는 청주아리랑은 이처럼 꺼지지 않은 영혼의 불로 우리의 가슴을 덥히며 충북인의 정체성을 말해준다.

/임병무 논설위원

주요뉴스 on 충북일보

thumbnail 148*82

청원署 '병영문화 개선' 시대흐름 역행

청주청원경찰서 방범순찰대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운동장으로 사용하던 경찰서 내 1천21㎡ 규모의 테니스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청원서는 예산 19억원을 들여 내달 3일부터 오는 4월(예정)까지 민원실 이전 공사에 들어간다.민원인의 원활한 업무처리 등을 위해서다.문제는 민원실 신축 예정 부지인 테니스장을 방범대원들이 체육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현재 청원서에서 생활하고 있는 의무경찰은 모두 123명(방순대 107명·타격대 16명).복무 특성상 활동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대원들에게 작은 공간이지만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중요 시설이다.하지만 민원실이 이전할 경우 체육활동 공간이 사라지게 되고 청원서는 청주지역 3개 경찰서 중 외부 운동공간이 없는 유일한 경찰서가 된다.일각에서는 문화·체육 시설을 확충하는 등 병영문화를 개선하려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경찰 관계자는 "경찰서에 체력 단련실이 있긴 하지만 민원실 이전 공사가 시작되면 외부 운동장은 이용이 어려울 것"이라며 "외부 운동장 등에서 주 1회 정도 대원들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운동장을 이용할 때 마다 외부기관의 협조를 얻어 사용한다는 얘기다.이 때문에 일부 대원들은 평일 체육활동 등 자유로운 체육활동을 할 수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한 방순대원은 "복무 중이기 때문에 활동이 제약될 수밖에 없는데 체육공간까지 사라진다니 아쉬울 따름"이라며 "경찰서 외부 운동장을 사용한다는 얘기가 있지만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지 않겠느냐"고 토로했다. / 박태성기자 ts_news@naver.com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