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뭔데

2024.03.04 17:06:19

[충북일보] 정부와 의사 간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전공의와 의과대학 학생들의 단일대오는 여전히 굳건하다. 급기야 엊그젠 전국 의사 총궐기 대회까지 열었다. 정부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 의사에 대해 다시 생각하자

3월이다. 새로운 인턴, 레지던트, 전임의들이 들어오는 시기다. 이즈음 병원은 부족한 의료 인력을 메운다. 그런데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마다 텅텅 비어 있다. 전공의 상당수가 사직서를 내고 병원을 떠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빈자리를 메울 의사가 없다. 의료대란이 현실로 다가왔다.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의 몫이다.

의사 집단파업은 국민 공감대 형성에 실패했다. 정당한 파업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공감보다는 권위의식의 표출로 인식된다. 의사 권위의식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걸까. 대부분 오만함과 자만심에서 비롯되기 쉽다. 의 과학 지식을 소유한 의료전문성으로 쌓아올린 아전인수다. 나만 가능하다는 왜곡된 자아형성이다.

2000년 의약분업 이후 몇 차례의 의·정 갈등이 있었다. 그 때마다 의사들은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의사들이 잘나서가 아니다. 환자 목숨을 담보로 한 파업이었기 때문이다. 의사파업은 핵과 같다. 핵은 보유하는 것만으로 위협이다. 그런데 의사들은 몇 년에 한 번씩 핵을 쏠 것처럼 위협한다. 의사가 늘 이긴 이유다.

이번에도 선을 넘었다. 2천 명이라는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다. 의대 규모는 인구구조와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바뀌어야 한다. 늘 수도 있고 줄 수도 있다. 공공이 필요로 하면 규모를 바꿀 수 있어야 한다. 공공의 이익을 위한 판단은 정부 몫이다. 그리고 실행해야 한다는 판단이 서면 실천에 옮기는 게 행정이다.

의대 정원 증원 반대 집단행동은 참으로 놀랍다. 다른 사안이라면 잘 모르겠다.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상한 현상이다. 의사들이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며 파업하는 사례는 없다. 전공의들이 돌아올 기미는 아직 없다. 정부의 면허정지 및 사법절차 경고에도 변함없다.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식의 여유가 느껴진다.

전공의를 비롯한 의사들이 있어야 할 곳은 환자 곁이다. 의료파업은 국민 피해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이리 보고 저리 봐도 어디에도 도움이 안 된다. 정부는 전공의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줬다. 이제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등의 행정처분 절차에 돌입하려 하고 있다. 물론 지금이라도 복귀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 계획은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의사 부족은 어떤 논리로도 깨기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각종 비상대책까지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의료현장의 불편함과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다. 그저 전공의들의 빠른 복귀를 바라고 있다. 그 사이 의사 증원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

*** 의사의 존재이유는 환자다

의사란 직업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 과연 어떤 직업인가. 의사의 존재 이유는 환자다. 모든 건 환자로 통한다. 사전적 의미론 면허를 얻어 의술과 약으로 병을 진찰하고 치료하는 사람이다. 이타주의적인 가치관을 아주 중요하게 여긴다. 국내 의사의 소득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높은 소득은 의사 수와 연관성을 갖는다.

전공의들은 의대 증원 계획 철회만을 요구할 게 아니다. 의·정 협의체를 만들어 타협할 부분을 찾아야 한다. 그게 현명하다. 물론 즉각적인 업무 복귀가 전제돼야 한다. 더 이상 현 상황을 방치하는 건 의·정 모두 직무유기다. 전공의들은 하루 빨리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 정부는 가능한 협상퇴로를 열어둬야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