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쌀 소비정책 식습관 변화에 맞춰라

2022.09.20 21:13:57

[충북일보] 황금들판의 햅쌀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하지만 농민들의 표정이 밝지 않다. 쌀값 폭락에 따른 농민들의 거리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그때그때 대응책을 내놓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가을걷이를 앞둔 충북도내 쌀 생산 농가도 다르지 않다. 충북에서만 100억 원 정도의 손해가 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8월 기준 전국 농협 쌀 재고량은 31만3천t이다.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이다. 충북지역 저온저장고나 창고에 쌓아 둔 벼 재고량은 1만1천t에 달한다.

쌀 가격은 4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급기야 지난달 15일 전국 쌀 주산지 광역단체장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국회에서 쌀값 안정 대책 마련 촉구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정부에 적극적인 쌀값 안정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농민들은 농기계를 동원한 시위에 나섰다. 올해 쌀값 폭락은 예년보다 그 폭이 크다. 통계청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쌀 가격은 전년 대비 16.5% 하락했다. 지난달 25일 기준 20kg 산지 쌀값은 4만 1천836원이다. 1년 전 5만 5천333원에 비해 24.4% 낮았다. 산지 80kg 쌀값도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평균 21만 9천551원에서 지난달 평균 16만 9천935원으로 22.6%나 떨어졌다. 매년 연간 소비량보다 많은 쌀이 생산된 탓이다. 2021년산 쌀 생산량은 388만t으로 추정 수요량 361만t에 비해 27만 t이나 과잉 공급됐다. 현재 전국 농협 쌀 재고량도 42만 8천t으로 지난해에 비해 80% 이상 증가했다. 정부는 지난 4월 21년산 쌀 12만 6천t을 시장에서 격리 조치했다. 이달 초 공공비축 쌀 45만t 매입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매년 35만t 수준의 공공비축 쌀을 사들였다. 하지만 올해 쌀 가격이 예년에 비해 크게 폭락했다. 결국 매입 물량을 10만t 늘리고, 매입 시기도 9월 중순에서 8월 말로 앞당겼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9㎏이다. 전년(57.7㎏)보다 0.8㎏ 줄었다. 2012년 이후 최저수준이다. 충북의 쌀 생산량은 지난해 17만5천t이다. 올해도 비슷하거나 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당연히 떨어지게 마련이다. 산지 쌀값이라고 다를 리 없다. 쌀값이 떨어지면 지난해 수매한 재고는 모두 손실이다. 현재 추정 손실액은 전국적으로 총 2천700억 원 정도다. 충북은 103억 원 정도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쌀 소비를 회복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들이 필요하다. 물론 지자체나 농협 등이 쌀 소비 촉진에 나서지 않은 건 아니다. 도시농협·기업·소비자단체와 범국민 쌀 소비 촉진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 정서에만 호소해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쌀이 몸에 좋으니 많이 먹어달라는 단순한 접근으론 효과를 보기 어렵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 유관기관이 다각적으로 나서야 한다. 우리는 가장 먼저 쌀 가공식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1인당 쌀 소비량은 줄고 있다. 하지만 쌀 가공식품의 소비는 느는 추세다. 특히 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고령층을 위한 쌀 음식과 쌀 가공식품 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국민들의 식습관은 이미 크게 변했다. 단순히 밥을 먹어 쌀 소비를 늘리자는 구호는 현실적이지 않다. 현대인들은 바쁘다.·쌀로·된·음식을·더·쉽고·간편하게·접할·수·있도록·해야·한다.·쌀·반죽에·국내산·재료로·토핑 된·피자도 좋다.·쌀·빵으로·만든·햄버거도·만들어·간편하게·먹을·수·있도록·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지난 6월 농림축산식품부의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 산업 활성화 대책의 방향은 적절했다. 이제 기존의 섭취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쌀 섭취 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쌀 가공식품에서 쌀 소비의 답을 찾을 수 있다. 최근 신선 농산물의 온라인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비대면과 거리두기를 강제했던 코로나19 여파로 더욱 확산됐다. 가공식품이라면 신선식품에 비해 온라인 거래가 더 쉽다. 정부가 먼저 가루쌀 가공식품 산업화라는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그런 만큼 충북도 보다 적극적인 예산 투입과 정책 지원으로 쌀 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성공해야 한다. 쌀 소비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