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충북교육감 당선인에게

2022.06.13 16:26:27

[충북일보] 충북의 교육수장이 8년 만에 바뀐다. 김병우 현 충북교육감에서 윤건영 당선인으로 교체된다. 충북교육의 진보에서 보수로 전환이다. 보수적 교육정책의 부활이 예상된다. 학교 등 교육현장에서 많은 변화가 감지된다.

*** 형평성과 수월성은 공존해야

 윤 당선인은 차기 충북교육감이다. 지난 충북교육감 선거에서 승리했다. 37만5천295표(55.95%)를 얻고 당선됐다. 내달 1일부터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김병우 교육감과 정치성향은 물론 업무 스타일까지 다르다. 물론 당분간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 같다. 윤 당선인이 연말까지 현 교육체계 유지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변화는 필연적이다. 수월성 교육에 가장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사고·특목고 등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탁월성 교육을 강조했다. "학교가 특화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이 있다면 특화하는 게 교육 품질을 높이는 길"이라고 했다. 수월성 교육에 찬성 입장을 밝힌 셈이다. 큰 변화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정권 교체는 언제든 생긴다. 정치적 생리현상이다. 보수에서 진보로, 진보에서 보수로 색깔을 달리한다. 1997년 12월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됐다. 보수정권에서 진보정권으로 교체였다. 2003년엔 노무현 대통령이, 2017년엔 문재인 대통령이 각각 취임했다. 진보가 주류된 순간들이다. 그동안 많은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보수에서 진보, 진보에서 보수로 교체는 적절했다. 특히 진보의 역할이 컸다. 하지만 교육현장은 달랐다. 정치적 요구와 교육적 요구가 잘 맞지 않았다. 학생·학부모, 교사, 교육감의 생각이 달랐다. 교육감들은 수월성 교육을 멀리 했다. 공부 잘 하는 학생보다 인성 좋은 학생을 우대했다. 수월성보다 형평성에 비중을 뒀다.

 2018년 7월 이후 더 심해졌다. 이 시기 전국 17명의 교육감 중 14명이 진보 성향이었다. 자연스럽게 학교의 수월성 교육이 억제됐다. 시대에 떨어진 낡은 신념으로 변질됐다. 25년 전 진보의 주장은 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이제는 경직된 역설이 됐다. 지나친 경쟁보다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건 더 큰 문제다.

피호봉호(避狐逢虎)란 사자성어가 있다. 문자 그대로 여우 피하려다 호랑이 만난다는 뜻이다. 나쁜 일을 피하려다 더 큰 일을 당한다는 경구다.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봤을 일이다. 기본이 바로 서야 나갈 길이 생긴다. 그야말로 본립도생(本立道生)이다. 적절한 경쟁은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수월성 교육도 마찬가지다.

교육은 평등해야 한다. 아무도 반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학습역량이 떨어지면 헛일이다. 수월성 교육을 병행해야 하는 까닭은 여기 있다. 대한민국 출생아 수는 2000년 64만 명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26만 명으로 줄었다. 적은 수의 아이들이 미래 사회를 책임져야 한다. 탁월하고 우수해야 한다. 학교가 그런 걸 도와야 한다.

형평성과 수월성은 공존의 가치다. 공교육 실현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가치다. 평준화 제도에서는 학교 선택의 자유가 제한된다. 학생들은 제각기 적성과 능력이 다르다. 각각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게 수월성 교육이다.

*** 공교육 내실화 반드시 해내라

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은 함께 실현해야 한다. 윤 당선인은 그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먼저 관습화 된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형평성의 관점부터 넓혀야 한다. 획일화 된 집착에서 벗어나야 볼 수 있다. 학생들은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게 진정한 의미의 교육 기회 균등이다. 기존의 수월성 교육은 엘리트 교육이었다. 진보적 교육관을 가진 사람들이 반대한 이유다. 윤 당선인은 거기서 벗어나야 한다.

윤 당선인이 명심할 게 또 있다. 교육의 문제는 교육감의 문제가 아니다. 학교의 문제고, 교사의 문제다. 학교는 교육 현장이다. 그런 만큼 학교와 교사의 책임이 무겁다. 교육감이 생각하고 고민할 건 따로 있다. 학교와 교사가 왜 국민의 요구만큼 못할까. 왜 학교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까. 그 원인을 찾아내 처방해야 한다. 윤 당선인의 첫 번째 공약은 공교육의 내실화다. 학교교육 정상화다. 반드시 실현할 처방전을 기대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