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ASF 차단에도 집중하자

2021.05.10 21:38:00

[충북일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온 신경이 코로나19에 집중돼 있다. 하지만 농촌에선 또 다른 감염병 확산에 긴장하고 있다. 우려하던 일은 현실로 나타났다. 강원 영월 흑돼지농장에서 지난 5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또 발생했다. 지난해 10월 화천 양돈장에서 확진 사례가 나온 이후 7개월 만이다. 게다가 발생농장이 충북과 인접해 있다. 양돈업계와 방역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충북도는 이미 도내 축산차량에 대해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지역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도내 전역에 ASF 주의보도 발령했다. 농협충북지역본부도 적극 나서고 있다. 도내 유입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도내 공제방제단을 긴급 가동하고 있다. 제천시, 단양군, 충주시, 괴산군을 초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하고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지자체와 공조로 주요 진입로 소독, 농장 출입구 생석회 도포, 농가 일일소독 등 강도 높은 방역을 벌이고 있다. 제천지역의 경우 강원도 영월군과 인접해 있다. 영월 ASF 발생 농가와 10km 이내에 4개 농가가 있다. 물론 아직까지 도내에서 추가·확진 사례는 없다. 정말 다행이다. 방역에 조금의 허술함도 있어선 안 된다. 충북도는 이미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방역 고삐를 바짝 조이고 나섰다. 가장 먼저 경기·강원 중점관리지역의 돼지·분뇨 등 축산 관련 위험물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거점소독소를 활용한 바이러스 차단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양돈농가 전담관을 통한 농장별 전화 예찰도 강화했다. 산간지역 농가엔 ASF 매개체인 멧돼지 기피제를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멧돼지 포획 개체의 ASF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검사도 확대키로 했다. 그래도 안심할 수 없다. 어느 때보다 도내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정부가 설치한 광역울타리마저 무용지물이 된 상황이다. 보다 과감하고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다. 그럼에도 올해 들어 ASF는 빠른 속도로 남하하고 있다. 정부는 사육돼지의 감염을 막기 위해 경기·강원 지역에 수백 ㎞의 광역울타리를 설치했다. 하지만 울타리 밖 남쪽에서 감염된 야생멧돼지들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결국 양돈농가에까지 바이러스가 번졌다. ASF는 해당 농장의 생존을 위협한다. 초기에 제압하지 못하면 양돈산업의 기반까지 흔들 수 있다. 양돈농가들부터 경각심을 갖고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특히 야산 인근의 농장은 장화 갈아 신기, 손 소독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시설과 차량 등에 대한 소독도 강화해야 한다. 농장 외부 울타리 등에도 문제가 없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부족한 시설은 서둘러 보완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야생멧돼지 개체 수 감축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무엇보다 발생 원인을 찾아서 제거해야 한다. ASF는 아직 치료법 및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감염 시 폐사율이 100%에 이르고 있다. '돼지 흑사병'으로 불릴 정도다. 때문에 발병하면 살처분 외에는 다른 방역 대책이 없다. 어떤 감염병이든 예찰과 차단 방역만이 최선이다. ASF는 일단 전염성이 강하다. 방역에 부족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물론 충북도 등이 ASF의 지역 유입 차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행히 충북에선 아직 ASF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방역이 뚫릴지 모른다. 야생멧돼지가 ASF 감염원이자 숙주로 확인됐다. 보다 철저한 방역태세 유지가 중요하다. 우리는 본란을 통해 ASF 차단 방역의 중요성을 수도 없이 강조했다. 충북도 등에 ASF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멧돼지 개체 수 줄이기와 함께 주변 지역의 토양오염 여부와 폐사체 예찰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북한의 발병 사례를 들어가며 ASF의 심각성을 수없이 전했다.

무슨 감염병이든 한 번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다. 초기 방역이 뚫리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자칫 상황을 안일하게 보면 대재앙을 맞을 수도 있다. 지금보다 더 긴장해야 한다. 감염병은 쉽게 끝나지 않는다. 한 번 감염은 곧 비극적 상황을 초래하곤 했다. 위기를 반면교사로 삼는 방역대책이 필요하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