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백신 사망원인 규명이 우선이다

2020.10.25 17:59:07

[충북일보] 독감 백신을 맞고 숨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동시다발적이어서 국민 불안감을 더 키우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겹쳐 더 심각하다. 질병관리청은 접종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 25일 현재 전국적으로 독감 백신 접종 관련 사망신고 건수는 48건에 이른다. 하지만 정부는 사망과 백신 접종 간의 직접적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접종을 일정대로 계속 진행키로 했다.

최근 3년간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는 한해 평균 2건이었다. 올해처럼 단기간에 많은 사람이 사망하지는 않았다. 발열, 구토 등 각종 이상반응 신고도 급증했다.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올해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430여건이다. 접종을 아직 절반도 안 했는데 예년에 비해 서너 배에 달한다. 물론 올해 접종 건수가 갑자기 증가한 영향이 가장 크다. 그렇다고 해도 역학조사와 부검 등을 통해 정확한 사인을 규명하는 게 우선이다. 국민들은 코로나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할까봐 두려워하고 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백신 접종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 접종 여부를 놓고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고령 부모의 접종을 말리는 사람도 있다. 보건소나 병·의원 등에는 문의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일부는 접종을 포기하거나 미루고 있다. 병·의원 등에 대기자가 눈에 띄게 줄었다. 불안감이 접종률 급감으로 이어진 셈이다.

현재 충북도내에서 안정적으로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하는 곳은 한국건강관리협회 충북·세종지부 정도다. 하지만 독감 접종자가 숨지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자 상황이 급속히 달라졌다. 건협 문 앞에서부터 장사진이던 시민들의 발길이 절반가량 줄었다. 이번 사태는 방역당국이 자초한 면이 크다. 유통 과정에서 백신의 상온 노출 사태는 국민 불안감을 키웠다. 혼란과 불안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주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의 국정감사에서 독감 백신이 화두에 올랐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에게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며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독감백신 접종을 잠정적으로 미룰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기저질환 없이 건강했던 사람도 백신을 맞고 숨졌다. 그런 만큼 접종을 일주일 정도 중단한 뒤 안전성 등 점검을 다시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백신에 대한 신뢰는 이미 땅에 떨어졌다. 48만 명분의 백신이 유통 과정에서 적정 온도를 벗어나 회수됐다. 61만5천명분의 백신에선 흰색 침전물이 발견됐다. 접종 중단 사태까지 있었다. 결론은 너무나 분명하다. 신속하고 정확한 사망원인부터 규명돼야 한다. 정부는 사고 연관성을 최대한 신속하게 규명해야 한다. 그 전까지는 당분간 접종을 중단하는 게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백신 접종이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백신 접종이 직접 사인이 아닐 수도 있다. 이런 점도 신속하게 밝혀야 한다. 그래야 국민 불안감을 말끔히 씻어줄 수 있다. 여태껏 백신 이상으로 사망한 사례는 드물다. 지난 2009년부터 작년까지 11년간 독감 백신 관련 사망신고는 모두 25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실제 백신에 의한 사망으로 인정된 건 1건뿐이다. 하지만 지금은 독감보다 백신을 더 두려워하고 있다. 누가 봐도 비정상적이다. 정부는 기저질환 핑계를 댈 일이 아니다. 기저질환자일수록 독감에 걸리면 안 되니 백신은 더 안전해야 한다. 우리는 더 이상의 사망자가 나오지 않는 게 급선무인 만큼 접종을 일단 중단하는 게 옳다고 판단한다. 여당은 정 청장 감싸기에 급급해선 안 된다. 야당이 독감백신을 '죽음을 부르는 독약'이라고 부른 것도 과도하다. 불안감만 부추길뿐 도움이 안 된다. 지금의 여야 모습은 모두 부적절하다. 머잖아 코로나 백신도 나온다. 이 때를 대비해 이참에 백신 관리체계를 체계적으로 제대로 정비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바이오 강국을 꿈꾸고 있다. 이번 백신 사태가 성장이냐 후퇴냐를 결정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세계적으로 쌓은 K방역 위상이 독감백신으로 무너지면 안 된다. 최대한 빠르게 독감백신과 사망의 인과관계를 규명해야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