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로 코로나 경제위기 극복하자

2020.06.25 19:37:33

[충북일보]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종식 대신 장기전을 공식화 했다. 방역전략도 전파 최소화로 바꿔가고 있다. 어쩔 수 없이 지역경제 피해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도·소매 및 음식업종을 중심으로 최악의 상황이 이어질 것 같다.

지역경기 침체를 부채질 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다. 축제 및 행사, 스포츠대회 취소·연기도 그중 하나다. 제천시의 경우 예정된 스포츠대회가 줄줄이 연기되며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대회 특수를 기대했던 숙박업소와 식당 등 관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다음 달 4개 스포츠대회가 잠정 연기됐다. 일부 대회는 취소가 예상돼 걱정이다.

물론 이런 상황은 제천지역에 국한된 게 아니라 전국적인 현상이다. 더 큰 문제는 코로나19 사태가 금방 끝나지 않을 것 같다는 점이다. 확산세가 지속될 경우 가을철에도 행사가 정상적으로 열릴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일부 체육인과 소상공인들 사이에서 야외 체육행사의 경우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열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충북의 경제관련 각종 지표는 좋지 않다. 본보 보도에 따르면 올해 충북경제성장률은 2%대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실업률은 3.6%, 고용률은 68%로 예측됐다. 수출액은 25억4천만 달러 감소(-10.4%)로 예측됐다. 반면 2021년에는 14억4천만 달러 증가(5.9%)로 예상됐다. 이런 예상 근거는 세계 경제성장률이다.

충북연구원은 지역 산업경제 대응안으로 데이터 기반 경제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등 체계적인 경제 리스트 관리와 데이터 경제 전환 대응을 제시했다. 고용·일자리 부문에서는 넥스트 노멀 시대에 대응하는 산업·고용 연계 강화 등을 전략과제로 꼽았다. 다시 말해 미래지향적 산업 고용 정책 연계와 지속 가능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이다. 우리는 충북연구원의 대안 제시에 동의한다. 하지만 지금은 보다 구체적인 지역경기 활성화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 골목상권이 무너지고, 일자리가 없어져 실업자가 넘쳐나는 상황이다. 침체된 지역경기회복이 최대 당면과제일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들을 살려야 지역경제가 산다. 상품권 등 지역화폐 활성화를 통해 경기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물론 지역화폐 유통에 전혀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긴급재난지원금 사례에서 봤듯이 지역화폐의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는 크다. 지역 제한과 기한 제한이 더 큰 효과를 유발했다. 지역화폐는 우선 지역자금의 역외유출 방지와 지역 내 소비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소상공인 매출증대 및 지역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농어민수당, 아동수당, 재난기본소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 더 좋다. 그러기 위해 카드형 지역화폐 도입도 바람직하다. 지역화페는 많은 주민들이 이용하는 게 관건이다. 그래야 지역상권이 활성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형 지역화폐는 기존 카드 가맹점을 이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부정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상품권도 도입해볼만 하다. 스마트폰 활용도가 높은 젊은 층은 종이류 지역화폐를 불편해 한다. 지자체도 시대 변화의 트렌드에 맞게 변해야 한다. 모바일 상품권을 도입해 상품권의 구매 편리성을 도모하고 거스름돈 발생 불편을 없애주면 예상외의 호응을 얻을 수도 있다. 사용의 편리성 제고 방법을 찾아내면 된다.

지역화폐 사용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역화폐의 유통기한을 정해놓는 게 좋다. 지역화폐는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의 소상공인들은 지역경제의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이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화폐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도 코로나19 관련 지역경제 침체 극복을 위한 방법이다.

충북경제계가 어느 때 보다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도내 지자체들도 지역경제가 살아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민 생활과 직결되는 지역경제에 온 신경을 써야 한다. 그래야 국가차원에서 추진하는 각종 위기 극복 정책들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충북형 뉴딜정책이 코로나19 극복 경제모델이 되길 소망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