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정착 위해 보완할 것 많다

2020.03.22 17:35:02

[충북일보] 고등학생이 대학생처럼 수업을 골라서 듣는 '고교학점제'가 시범 운영된다. 학교와 대학, 기관 등이 울타리를 허물고 자원을 공유하는 교육 협력체제다. 교육부는 전국에서 충북 등 24개 지구를 선정해 총 111억 원의 예산을 지원키로 했다.

충북도교육청은 청주지역 24개 학교를 대상으로 기반조성에 나선다. 농산촌 29개 학교의 교육여건도 개선한다. 모두 28억 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물론 전면적인 고교학점제는 2025년 도입된다. 하지만 개별 학교 단위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인근 고등학교와 대학, 기관 등과 교육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체계가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 지원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와 관내 학교, 대학, 병원, 공공기관, 기업 등이 서로 교육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완성된다. 그 때 비로소 학생들이 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과목을 이수할 수 있다. 충북도교육청은 지역의 다양한 기관과 협업으로 학점제형 학사운영 모델이나 교육협력 모델을 구축하도록 할 방침이다. 우선 청주시 24개 일반고(자율형 공립고 포함)를 대상으로 8억 원을 지원키로 했다. 나머지 시·군지역 29개 일반고(자율형 공립고 포함)에 대해선 학생들의 열악한 학습선택권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적용되는 게 교육소외지역 교육여건 개선사업이다. 특히 실시간 양방향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기반시설(스튜디오, 온라인 학습실, 노트북, 태블릿)을 확충해 교육격차를 줄일 계획이다.

충북은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 지원사업'과 '교육소외지역 교육여건 개선사업'에 선정됐다. 두 사업이 추진되면 각 학교별로 최대 7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수준이나 진로에 맞춰 과목을 선택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도교육청은 학생의 개인별 교육과정 설계를 돕고 지원하는 '교내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을 새롭게 만들기로 했다. '교육과정 박람회'도 열기로 했다. 교육청과 학교가 참여하는 '공동교육과정 운영위원회'도 구성키로 했다.

하지만 여전히 준비할 게 많다. 고교학점제는 학생 선택권을 강화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안정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더 많은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당국은 과목 이수·미이수 기준을 마련해 학생의 성취를 평가하길 원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선 어려움이 크다. 실제 미이수자가 유급되거나 고교를 졸업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회적 낙인이 찍힐 수도 있다. 당연히 학부모의 반발이 심해질 수밖에 없다. 미이수자를 3년 내에 졸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대학입시와 연관성도 풀어야 할 숙제다. 학교 여건에 따라 개설과목 수나 내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이를 대학이 어떻게 전형요소로 수용하느냐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가령 공대 진학을 원하는 학생이 학교 내에 해당 과목이 없어 수강을 못할 수도 있다. 혹은 개설과목 수준이 낮아 대학이 요구하는 데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럴 때 어떤 방식으로 이 괴리를 풀 수 있을지 정해야 한다.·게다가 고교학점제가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학생부종합전형 등이 활성화돼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선 정시모집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행되면 다양한 과목 구성, 운영 방식 등 고교별로 차이가 클 수 있다. 학생들은 본인에게 적합한 고교를 미리 알아 두는 게 현명하다. 학교알리미 등을 통해 매년 업데이트 되는 관심 고교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좋다. 추후 발표되는 고교학점제 추진계획 수립안들에 대해서도 눈 여겨 봐야 한다. 고교학점제는 대학 학사일정과 비슷하다.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수강신청을 하면 된다. 그런 다음 교실을 옮겨 다니며 수업을 듣고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된다. 학년에 관계없이 졸업할 수 있는 제도다. 가장 큰 장점은 학생 스스로 진로를 설계, 수업을 선택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교사는 수업·평가에 대한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게 골자다. 현재 연구·선도 학교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시범·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 꼭 필요한 제도다. 정착은 물론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